본문 바로가기
경제

트럼프 관세 불확실성에 뉴욕증시 급락…기술주 직격탄

by 산경투데이 2025. 3. 29.
반응형



[산경투데이 = 한승수 기자]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정책 불확실성이 금융시장에 부담을 주며 인플레이션과 경기침체 우려가 겹쳐 뉴욕증시가 급락했다.

28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715.80포인트(-1.69%) 하락한 41,583.90에 마감했다. S&P 500 지수는 112.37포인트(-1.97%) 떨어진 5,580.94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481.04포인트(-2.70%) 급락한 17,322.99를 기록했다.

S&P 500 지수는 지난 3월 10일 이후 최대 낙폭을 기록했으며,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두 번째로 큰 하루 하락폭이다.

관세 정책에 대한 불확실성과 인플레이션 우려로 인해 대형 기술주들이 직격탄을 맞았다.
테슬라는 3.53% 하락했으며, 엔비디아(-1.58%), 메타(-4.29%), 아마존(-4.33%), 마이크로소프트(-3.02%), 알파벳(-4.88%), 애플(-2.68%) 등 '매그니피센트 7' 종목이 일제히 급락했다.

특히 인공지능(AI) 기업 코어위브가 뉴욕증시에 상장했으나, 기대에 못 미치는 성적을 거두며 공모가인 40달러를 간신히 유지하는 데 그쳤다.

이날 발표된 2월 근원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2.8%, 전월 대비 0.4% 상승해 전문가 예상을 초과했다. 또한, 2월 실질 개인소비지출 증가율은 전월 대비 0.1%로 미미한 성장을 보였다.

미시간대가 발표한 소비자 심리지수는 2022년 9월 이후 최저치로 추락하며 소비 둔화 우려를 부채질했다. 인플레이션과 소비 심리 악화는 투자 심리를 더욱 냉각시키며 증시 하락을 부추겼다.

경기 침체 공포 속에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강해지며 금값이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금 현물 가격은 장중 온스당 3,086.70달러로 고점을 찍었고, 6월 인도분 금 선물 가격은 3,114.30달러로 종전 최고 기록을 넘어섰다.

반면, 국제유가는 소폭 하락해 ICE 선물거래소에서 5월 인도분 브렌트유 종가는 배럴당 73.63달러로 0.54% 떨어졌다.

AXS인베스먼트의 그레그 바숙 최고경영자(CEO)는 "관세로 인한 인플레이션 영향이 아직 지표에 반영되지 않았다"며 "앞으로 수개월간 인플레이션이 더욱 높아질 가능성이 크다"고 경고했다.

이번 급락은 투자자들 사이에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불러올 경제적 충격에 대한 우려를 키우고 있다. 투자자들은 향후 경제 지표와 정책 변화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https://www.sankyungtoday.com/news/articleView.html?idxno=51958

트럼프 관세 불확실성에 뉴욕증시 급락…기술주 직격탄

[산경투데이 = 한승수 기자]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정책 불확실성이 금융시장에 부담을 주며 인플레이션과 경기침체 우려가 겹쳐 뉴욕증시가 급락했다.28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다우존

www.sankyungtoda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