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경투데이 = 한승수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산 전자제품에 대한 일부 관세 면제를 단행하자 뉴욕증시가 강세로 마감했다.
시장은 기술기업과 자동차 업종을 중심으로 낙관적 반응을 보였으나, 트럼프의 잇단 발언과 정책 혼선에 따른 불확실성은 여전하다는 지적이다.
14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312.08포인트(0.78%) 오른 40,524.79에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0.79% 오른 5,405.97, 나스닥종합지수는 0.64% 상승한 16,831.48로 각각 장을 마쳤다.
이번 상승은 미 세관국경보호국(CBP)이 발표한 ‘상호관세 제외 품목’에 대한 공식 안내가 촉매가 됐다. 면제 품목에는 스마트폰, 노트북, 반도체 장비, 메모리칩 등이 포함되며, 이로 인해 애플 등 대형 기술주에 대한 기대감이 커졌다. 애플은 이날 2.21% 상승하며 시가총액 3조 달러를 재돌파했다.
자동차 업종도 강세였다. 트럼프가 “자동차 업계 지원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히면서 제너럴모터스(GM)는 3.46%, 포드는 4.07% 각각 상승했다.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 면제 조치로 인해 중국 인터넷 기업 주가도 상승했다. CSI중국인터넷ETF는 이날 4% 넘게 오르며 4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다만 시장은 트럼프의 발언에서 여전히 불확실성을 감지하고 있다. 그는 면제 품목에도 기존 20%의 ‘펜타닐 관세’가 적용되며, 일부는 다른 관세 범주로 이동한다고 밝혀 시장에 혼선을 줬다.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도 이번 면제가 한시적이며 “한두 달 내 다시 관세가 부과될 수 있다”고 언급했다.
모건스탠리는 이날 발간한 보고서에서 "투자자들은 향후 반복되는 정책 변동에 대비해야 할 것"이라며 관세 정책의 방향성이 모호하다고 지적했다.
업종별로는 기술주를 제외한 대부분의 섹터가 상승했다. 부동산 업종은 2% 이상 오르며 가장 큰 상승폭을 보였고, 유틸리티·산업재·헬스케어·금융 등이 1%대 상승률을 기록했다.
한편, 연준(Fed) 인사들의 발언도 주목받았다.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는 “높은 관세가 일시적으로 인플레이션을 자극할 수 있으나, 장기적 기대 인플레이션은 안정돼 있다”고 말했다. 이어 “경기 둔화가 현실화되면 연준이 보다 빠르고 강하게 금리를 인하할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소비자 인플레이션 기대는 상승세를 나타냈다. 뉴욕 연은의 조사에 따르면 1년 기대 인플레이션은 3.6%로, 전달보다 0.5%포인트 상승하며 6개월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날 시장의 불확실성은 변동성 지수(VIX) 하락으로 일부 진정됐다. CBOE VIX는 17.76% 하락한 30.89를 기록했다.
https://www.sankyungtoday.com/news/articleView.html?idxno=52363
트럼프發 ‘관세 완화’에 기술·車주 반등…뉴욕증시 상승 마감
[산경투데이 = 한승수 기자]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산 전자제품에 대한 일부 관세 면제를 단행하자 뉴욕증시가 강세로 마감했다.시장은 기술기업과 자동차 업종을 중심으로 낙관적
www.sankyungtoday.com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부, 12조원 규모 추경 편성…AI·재해대응·취약층 지원 확대 (0) | 2025.04.15 |
---|---|
애플 1분기 출하 10% 증가…트럼프 관세 면제에 주가도 반등 (2) | 2025.04.15 |
국고채 금리 하락…미 국채 변동성과 금통위 관망 심리 영향 (0) | 2025.04.15 |
지난해 달러 결제 비중 84.5%로 증가…엔화 비중 2%로 '사상 최저' (1) | 2025.04.15 |
배민, 포장 주문에도 수수료 부과…점주들 “수익성 악화” 반발 (1) | 2025.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