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경투데이 = 한승수 기자]
지난해 국내 수출 결제에서 달러화 비중이 확대된 반면, 엔화는 역대 최저 수준으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4년 결제통화별 수출입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수출 결제 가운데 84.5%가 달러화로 이뤄졌다. 이는 전년 대비 1.4%포인트 상승한 수치다. 반면 엔화 결제 비중은 2.0%로,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낮았다.
유로(6.0%), 원화(2.7%), 위안화(1.5%) 등의 비중도 일제히 감소했다. 특히 엔화는 기계류, 철강제품, 정밀기기 등의 수출에서 결제 비중이 줄며 급감세를 보였다.
김성준 한국은행 국제수지팀장은 "반도체, 컴퓨터 주변기기, 선박 등 달러 결제 비중이 높은 품목의 수출 증가가 주요 원인"이라며 "엔화는 일본과의 교역 자체가 축소되며 중장기적으로 결제 비중이 줄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 대(對)일본 수출액은 2011년 396억8천만 달러로 정점을 찍은 이후 감소세를 이어가며, 지난해에는 296억1천만 달러까지 떨어졌다.
한편 수입 결제에서는 달러(80.3%)가 여전히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지만, 위안화는 3.1%로 전년 대비 0.7%포인트 상승하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위안화 비중은 6년 연속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김 팀장은 "원자재 수입이 줄며 달러 비중이 소폭 낮아졌고, 반도체, 철강, 자동차부품 등 중국산 품목 수입 증가가 위안화 결제 확대에 영향을 줬다"고 말했다.
https://www.sankyungtoday.com/news/articleView.html?idxno=52356&page=2&total=20576
지난해 달러 결제 비중 84.5%로 증가…엔화 비중 2%로 '사상 최저'
[산경투데이 = 한승수 기자]지난해 국내 수출 결제에서 달러화 비중이 확대된 반면, 엔화는 역대 최저 수준으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14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4년 결제통화별 수출입 통계'
www.sankyungtoday.com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럼프發 ‘관세 완화’에 기술·車주 반등…뉴욕증시 상승 마감 (2) | 2025.04.15 |
---|---|
국고채 금리 하락…미 국채 변동성과 금통위 관망 심리 영향 (0) | 2025.04.15 |
배민, 포장 주문에도 수수료 부과…점주들 “수익성 악화” 반발 (1) | 2025.04.15 |
3월 ICT 수출 205억 달러 돌파…반도체·SSD·스마트폰 부품이 견인 (2) | 2025.04.15 |
코스피, 2,450선 등락…반도체 관세 불확실성에 상승세 조정 (2) | 2025.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