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업

국내 이차전지 톱10 시총 21조 증발…관세·수요 둔화에 반등 '먹구름'

by 산경투데이 2025. 5. 3.
반응형



[산경투데이 = 이준영 기자]

국내 주요 이차전지 기업들의 시가총액이 올해 들어 20조원 이상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수요 둔화와 미·중 무역 갈등 재점화 우려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투자심리가 위축된 결과다.

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2일 기준 KRX 2차전지 톱10 지수를 구성하는 국내 주요 10개 이차전지 기업의 시가총액 합계는 170조9,27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말(191조9,400억원) 대비 21조130억원 감소한 수치다.

해당 지수에는 LG에너지솔루션, POSCO홀딩스, LG화학, SK이노베이션, 삼성SDI, 에코프로비엠, 포스코퓨처엠, 에코프로, SKC, 에코프로머티 등 시총 상위 이차전지 관련주가 포함돼 있다.

KRX 2차전지 톱10 지수는 연초 대비 15.6% 하락했으며, 같은 기간 코스피가 6.7% 상승한 것과는 대조적인 흐름을 보였다. 지난해 ‘전기차 캐즘(Chasm)’ 우려로 약세를 보였던 이차전지 업황은 올해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 불확실성까지 겹치며 회복에 실패하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올해 1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 3,747억원을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138% 급증했으나, 2분기 이후 출하 감소와 투자 축소 계획이 알려지며 주가 상승 동력은 약해졌다. 실제 회사는 연간 CAPEX를 전년 대비 30% 이상 축소하겠다고 밝혔다.

정원석 iM증권 연구원은 “유럽향 출하 감소로 LG에너지솔루션의 2분기 실적은 부진할 가능성이 높다”며 “국내 배터리 셀 업체들의 유럽 시장 점유율도 중국 업체와의 경쟁 심화로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고 분석했다.

기관 자금도 빠져나가고 있다. 올해 들어 ‘TIGER 2차전지 TOP10 ETF’에서는 기관 순매도액이 326억원에 달했다.

일각에서는 과도한 우려가 해소될 경우 단기 반등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안나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IRA 폐지 가능성은 낮고, 미국의 인프라 부족으로 관세가 조정될 여지가 있다”며 “5월부터 실적이 시장 기대치를 상회할 경우 트레이딩 기회가 올 수 있다”고 전망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최선호주로 꼽혔다.

그러나 장기적 반등에는 회의적인 시각도 우세하다.

주민우 NH투자증권 연구원은 “IRA는 폐지보다는 혜택 축소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미국 전기차 수요 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유럽이 중국 전기차에 부과한 관세를 철폐할 경우 국내 배터리 3사에도 악재가 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김현수 하나증권 연구원은 “2분기 이후 이차전지 기업의 매출 증가세에 대한 기대치도 낮춰야 할 시점”이라며 “1분기 실적 호조는 IRA 세액공제 축소 전 선제적 수요의 결과일 수 있다”고 평가했다.


https://www.sankyungtoday.com/news/articleView.html?idxno=52862

국내 이차전지 톱10 시총 21조 증발…관세·수요 둔화에 반등 '먹구름'

[산경투데이 = 이준영 기자]국내 주요 이차전지 기업들의 시가총액이 올해 들어 20조원 이상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글로벌 수요 둔화와 미·중 무역 갈등 재점화 우려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www.sankyungtoda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