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경투데이 = 한승수 기자]
최근 5년간 부동산 가격 급등으로 자산 격차가 심화된 가운데, 상위 1% 부동산 부자의 기준선이 30억 원으로 상승했다.
같은 기간 중간 가구의 부동산 자산 증가는 2천만 원에 그쳐 부동산 양극화가 더욱 두드러지고 있다.
23일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 마이크로데이터에 따르면, 지난해 상위 1% 부동산 부자의 기준선은 30억 원으로, 2019년 24억6천만 원에서 5억4천만 원 증가했다.
상위 5%와 10%의 기준선도 각각 2억9천만 원, 2억 원씩 상승하며 상위 계층의 자산 증대가 두드러졌다.
반면, 전체 가구의 중위값에 해당하는 중간 가구의 부동산 자산은 같은 기간 동안 1억6천만 원에서 1억8천만 원으로 2천만 원 증가하는 데 그쳤다. 이는 상위 계층과 중위 계층 간 자산 격차가 더욱 벌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부동산 자산의 양극화는 순자산 격차로도 이어졌다. 순자산 상위 10% 가구의 평균 순자산은 2019년 15억3천만 원에서 지난해 20억 원으로 4억7천만 원 증가했다.
반면, 순자산 2∼8분위 가구의 점유율은 대부분 감소하며 상위 계층으로 자산이 집중되는 현상이 두드러졌다.
서울 강남권을 중심으로 부동산 가격이 급등하면서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자산 격차도 확대됐다. 수도권 자산 상위 20%의 평균 부동산 자산은 지난해 13억6천만 원으로, 비수도권의 10억7천만 원과 3억 원 이상의 차이를 보였다.
특히 수도권 자산 5분위 가구의 부동산 평균 금액은 5년 새 3억1천만 원 증가한 반면, 비수도권은 2억 정도 증가하는 데 그쳤다. 이러한 격차는 서울 강남권의 부동산 상승세로 인해 더 심화할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전문가들은 부동산 자산 격차가 심화하면서 사회적 불평등이 더욱 고착화될 우려가 있다고 지적한다. 특히 서울과 수도권 중심의 자산 집중 현상을 해소하기 위해 지역 간 균형 발전을 도모하는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출처 : 산경투데이 https://www.sankyungtoday.com
상위 1% 부동산 부자 기준 30억 원↑, 중간 가구는 2천만 원 증가 그쳐 < 부동산 < 경제 < 기사본문 - 산경투데이
상위 1% 부동산 부자 기준 30억 원↑, 중간 가구는 2천만 원 증가 그쳐
[산경투데이 = 한승수 기자]최근 5년간 부동산 가격 급등으로 자산 격차가 심화된 가운데, 상위 1% 부동산 부자의 기준선이 30억 원으로 상승했다.같은 기간 중간 가구의 부동산 자산 증가는 2천만
www.sankyungtoday.com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면부터 맥주까지… 식음료 가격 줄인상, 소비자 부담 커진다 (1) | 2025.03.24 |
---|---|
금융당국, 토허제 확대 후폭풍 주시…투기성 대출 강력 차단 (0) | 2025.03.24 |
공매도 전면 재개…시장 활성화 vs 규제 강화 논란 (0) | 2025.03.24 |
[한주간 증시] 트럼프 리스크 완화에 코스피 2,640선 돌파…반도체주 강세 지속 (1) | 2025.03.24 |
중국 단체관광 무비자 추진…관광·면세업계 '활성화 기대' (0) | 2025.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