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경투데이 = 이준영 기자]
미국의 보호무역 기조가 강화되면서 세계 교역량 위축 우려가 커지고 있지만, 해상운임의 급락은 국내 가전업계에 오히려 ‘숨통’을 틔워주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삼성전자, LG전자는 지난해 치솟은 물류비 부담에 실적 압박을 받았으나, 올해는 반대의 흐름이 기대된다.
6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 LG전자가 지난해 지출한 물류비는 총 6조712억원으로, 1년 전보다 무려 1조6천억원 이상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삼성전자는 전년 대비 71.9% 증가한 2조9천602억원, LG전자는 16.7% 늘어난 3조1천110억원을 각각 물류비로 지출했다. 주요 원인으로는 가전제품의 특성상 해상운임에 대한 의존도가 높기 때문이다.
특히 지난해 글로벌 해상운임 지표인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는 평균 2,506포인트를 기록하며, 전년 대비 149%나 상승했다. 이는 TV, 냉장고 등 대형 가전의 수출입 비용을 크게 끌어올렸다.
하지만 올해 들어 상황이 급변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재집권 가능성과 더불어 본격화된 관세 압박은 세계 교역에 대한 불안감을 키웠고, 이에 따라 해상운임은 급락세를 나타내고 있다.
SCFI는 작년 12월 2,373포인트에서 지난달 말 1,293포인트까지 떨어졌고, 이달 초에는 1,393포인트를 기록하며 회복 조짐 없이 하락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해운업계에서는 이 같은 추세가 지속될 경우 SCFI가 조만간 1,000선 아래로 떨어질 가능성도 있다고 보고 있다. 이는 2023년 12월 이후 1년 3개월 만의 최저 수준이다.
이러한 운임 하락은 가전업계에는 호재다. KB증권 김동원 연구원은 “선박 공급 과잉과 물류 수요 감소로 LG전자의 올해 물류비가 6,000억원 이상 감소할 것”이라며 수익성 개선 가능성을 언급했다.
다만 관세 정책의 불확실성과 중국 제조업체와의 경쟁 심화, 글로벌 수요 둔화 등은 여전히 리스크로 남아 있다.
보호무역 강화 속에서 시장의 흐름을 예측하기 어려운 만큼, 업계는 비용 절감 효과를 살리는 동시에 수익성 중심의 전략을 강화할 것으로 보인다.
https://www.sankyungtoday.com/news/articleView.html?idxno=52154
해상운임 하락, 가전업계 ‘숨통’…삼성·LG 물류비 부담 완화 기대
[산경투데이 = 이준영 기자]미국의 보호무역 기조가 강화되면서 세계 교역량 위축 우려가 커지고 있지만, 해상운임의 급락은 국내 가전업계에 오히려 ‘숨통’을 틔워주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www.sankyungtoday.com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복현, 사의 표명에도 6월까지 잔류…“F4 회의 지속이 시장 안도 요인 (2) | 2025.04.06 |
---|---|
트럼프發 관세 폭풍 예고…1분기 실적 발표 앞둔 산업계 ‘긴장’ (0) | 2025.04.06 |
트럼프 관세 정책 여파에 뉴욕증시 휘청… 시가총액 11조 달러 증발 (0) | 2025.04.06 |
세계 식량 가격 3개월 연속 상승…유지류·육류 오르고 곡물·설탕 하락 (0) | 2025.04.06 |
알약으로 바뀐 장 정결제, 대장내시경 진입 장벽 낮췄다 (0) | 2025.04.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