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경투데이 = 이준영 기자]
직장인들이 손꼽아 기다리는 성과급 시즌이 다가왔지만, 업황과 실적에 따라 희비가 교차하는 분위기다.
반도체·가전 업종은 상대적으로 높은 성과급을 지급하는 반면, 배터리·정유업계는 부진한 실적 탓에 긴장감이 흐르고 있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SK하이닉스는 창사 이래 최대 실적을 기록하며 기본급의 1,500%에 달하는 성과급을 지급한다. 이는 연봉 1억 원 기준 약 7,500만 원을 성과급으로 받게 되는 셈이다. 지난해 AI 열풍 속 고대역폭 메모리(HBM) 시장을 선점하며 매출 66조 원, 영업이익 23조 원을 달성한 성과다.
그러나 SK하이닉스 내부에서는 기대치에 미치지 못했다는 불만도 제기되고 있다.
삼성전자는 사업부별로 성과급 지급률에 차이를 뒀다. 반도체 부문(OPI 14%)은 IT 수요 부진으로 낮은 지급률을 기록한 반면, 갤럭시 S24 시리즈 판매 호조로 실적을 견인한 모바일 경험(MX) 사업부는 44%를 지급한다.
TV 사업을 담당하는 영상디스플레이(VD) 사업부는 27%, 생활가전·의료기기 등은 9%의 OPI를 지급한다.
LG전자는 전장(VS) 사업본부 구성원들에게 기본급의 최대 510%를 성과급으로 지급한다. 가전을 담당하는 H&A 사업본부는 최대 470%, TV사업부는 80~140%의 성과급을 받는다.
배터리 기업들은 전기차 수요 정체와 업황 악화로 성과급 지급이 어려운 상황이다.
LG에너지솔루션은 기본급의 50%를 지급하며, 과거 최대 900%에 비해 크게 줄었다.
삼성SDI는 전자재료 사업부(3∼5%)를 제외하면 OPI 지급률이 0%로 책정됐다.
삼성SDI는 2023년 영업이익 1조6천330억원을 기록하면서 2024년 초 배터리사업부, 전자재료, 본사(지원 조직)는 각각 32%, 18%, 28%의 OPI를 받은 바 있다.
정유업계는 유가 하락으로 실적이 악화돼 성과급 지급 규모를 결정하지 못했다.
GS칼텍스는 전 직원에게 연봉의 12.5%를 성과급으로 지급했다. GS칼텍스의 성과급은 2023년 연봉의 50%에서 2024년 40%로 감소한 뒤 올해도 줄었다.
SK이노베이션과 에쓰오일, HD현대오일뱅크는 설 이후 지급 여부를 발표할 예정이다.
업계 관계자는 "성과급은 실적과 연관되지만, 직원들의 사기와 직결된 만큼 기업들이 균형을 맞추기 위해 고심하고 있다"고 전했다.
https://www.sankyungtoday.com/news/articleView.html?idxno=50333
성과급 시즌, 업종별 희비 교차…반도체 '풍년' 배터리·정유 '한숨'
[산경투데이 = 이준영 기자]직장인들이 손꼽아 기다리는 성과급 시즌이 다가왔지만, 업황과 실적에 따라 희비가 교차하는 분위기다.반도체·가전 업종은 상대적으로 높은 성과급을 지급하는 반
www.sankyungtoday.com
'산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신 3사, 지난해 영업이익 19% 감소…AI·클라우드로 반등 기대 (0) | 2025.01.27 |
---|---|
美 빅테크, 잇단 분기 실적 발표…투자자 시선 집중 (0) | 2025.01.27 |
ETRI, 세계 최초 200Gbps 6G 무선링크 시연 성공 (0) | 2025.01.26 |
[시승기] '디 올 뉴 팰리세이드' 안락한 승차감·경쾌한 가속까지 (0) | 2025.01.25 |
포스코이앤씨, ‘성남 은행주공’ 재건축 수주 총력…최적 조건 제안 (0) | 2025.01.25 |